| 데이터 유형 |
국내통계(1유형) |
|---|---|
| 지표명 |
특정 연령 집단에서 기능적 (a)언어역량과 (b)수리역량이 최소 일정 수준에 도달한 인구 비율(성별) |
| 데이터명 |
일상생활에 필요한 충분한 문해력을 갖춘 인구비율 |
| 정의 |
일상생활에 필요한 충분한 문해력(읽기, 쓰기, 셈하기 등)을 갖춘 인구비율로 중학 학력 이상의 수준 |
| 작성방법 |
면접조사 |
| 작성기관 |
국가평생교육진흥원 국가문해교육센터 |
| 작성주기 |
3년 |
| 메타데이터 | https://kostat-sdg-kor.github.io/sdg-indicators/public/data/Metadata-04-06-01_KOR.pdf 새 창에서 열기 |
Download Headline CSV
원본 CSV 내려받기
Headline data
| Year | Value |
|---|---|
| 2017 | 77.6 |
| 2014 | 71.5 |
| 2020 | 79.8 |
이 표는 UN 통계 위원회에서 정의한 SDG 지표에 대한 메타데이터입니다. 전체 글로벌 메터데이터 는 UN 통계국에서 제공합니다.
| 지표명 |
특정 연령 집단에서 기능적 (a)언어역량과 (b)수리역량이 최소 일정 수준에 도달한 인구 비율(성별) |
|---|---|
| 세부목표명 |
2030년까지 모든 청소년과 상당수 성인 남녀의 문해력과 수리력 성취를 보장 |
| 소관기구 |
United Nations Education and Scientific Cultural Organisation - Institute of Statistics (UNESCO-UIS) |
| 메타데이터 | https://unstats.un.org/sdgs/metadata/files/Metadata-04-06-01.pdf 새 창에서 열기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