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데이터 유형 |
국제기구통계(2유형) |
|---|---|
| 지표명 |
모바일네트워크 사용 인구 비율(기술별) |
| 정의 |
이동 통신망이 적용되는 인구 비율(2G, 3G, 4G 여부에 의해 세분화됨)은 이동전화 가입자 혹은 사용자인지 여부에 상관없이 이동전화 신호 범위 내에서 거주하고 있는 주민의 비율임 즉, 핸드폰 신호 범위 내의 거주자 수를 총 인구로 나눈 값 |
| 작성방법 |
정보통신 관련 부처, ICT 및 통신 규제 당국으로부터 설문지를 통해 매년 데이터를 수집 |
| 작성기관 |
국제전기통신연합(ITU) |
| 작성주기 |
1년 |
| 메타데이터 | https://kostat-sdg-kor.github.io/sdg-indicators/public/data/Metadata-09-0c-01_KOR.pdf 새 창에서 열기 |
Download Headline CSV
원본 CSV 내려받기
Headline data
| Year | Value |
|---|---|
| 2014 | 99.0 |
| 2015 | 99.0 |
| 2016 | 99.9 |
| 2017 | 99.9 |
| 2018 | 99.9 |
| 2019 | 99.9 |
| 2020 | 99.9 |
| 2021 | 99.9 |
이 표는 UN 통계 위원회에서 정의한 SDG 지표에 대한 메타데이터입니다. 전체 글로벌 메터데이터 는 UN 통계국에서 제공합니다.
| 지표명 |
무선네트워크 사용 가능 인구 비율(기술별) |
|---|---|
| 세부목표명 |
ICT 접근성을 상당 수준으로 증가시키고, 2020년까지 최빈개도국의 보편적인 인터넷 접근성 달성을 위해 노력 |
| 소관기구 |
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(ITU) |
| 메타데이터 | https://unstats.un.org/sdgs/metadata/files/Metadata-09-0C-01.pdf 새 창에서 열기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