데이터 유형 |
국내유사통계(3유형) |
---|---|
지표명 |
안전하게 처리되는 가정용 및 산업용 하·폐수 비율 |
데이터명 |
(a) 유입하수량, (b) 폐수 발생량 |
정의 |
(a) 사람의 생활이나 경제활동으로 인하여 액체성 또는 고체성 물질이 섞여 오염된 물(이하 ‘오수’라 한다)과 건물·도로 그 밖의 시설물의 부지로부터 공공하수처리장으로 유입되는 하수량의 총합 </b> (b) 생산활동으로 인하여 폐수배출시설에서 배출되는 폐수량을 의미함. 즉, 폐수처리 후 최종방류구에서 재이용하는 폐수를 포함한 총 발생량을 말하며, 폐수처리 유입 전 또는 폐수처리장 중간에서 순환재이용하는 양은 제외함 * 참고: 폐수에는 생활오수 및 순수(간접)냉각수는 제외되나, 직접 냉각폐수와 특정수질유해물질함유폐수는 포함 |
출처통계명 |
하수도 통계 |
작성방법 |
행정보고통계 |
작성기관 |
환경부 물환경정책국 생활하수과 |
작성주기 |
1년 |
메타데이터 | https://kostat-sdg-kor.github.io/sdg-indicators/public/data/Metadata-06-03-01_KOR.pdf 새 창에서 열기 |
Download Headline CSV
원본 CSV 내려받기
Headline data
Year | Value | Units |
---|---|---|
2015 | 19836099.7 | 유입하수량 |
2015 | 4950635.0 | 폐수발생량 |
2016 | 20405884.7 | 유입하수량 |
2016 | 4621383.0 | 폐수발생량 |
2017 | 20304381.7 | 유입하수량 |
2017 | 4921364.0 | 폐수발생량 |
2018 | 20906964.4 | 유입하수량 |
2018 | 4277551.0 | 폐수발생량 |
2019 | 20493901.7 | 유입하수량 |
2020 | 21240609.2 | 유입하수량 |
이 표는 UN 통계 위원회에서 정의한 SDG 지표에 대한 메타데이터입니다. 전체 글로벌 메터데이터 는 UN 통계국에서 제공합니다.
지표명 |
안전하게 처리되는 가정용 및 산업용 하·폐수 비율 |
---|---|
세부목표명 |
2030년까지 오염 감소, 유해 화학물질 투기 근절 및 배출 최소화를 통해 미처리된 하수 비율을 절반으로 줄이고 재활용 및 안전한 재사용을 전 세계적으로 대폭 확대 |
소관기구 |
World Health Organisation (WHO), United Nations Human Settlements Programme (UN-Habitat), United Nations Statistics Division (UNSD) |
메타데이터 | https://unstats.un.org/sdgs/metadata/files/Metadata-06-03-01.pdf 새 창에서 열기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