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데이터 유형 |
국제기구통계(2유형) |
|---|---|
| 지표명 |
적색목록지수 |
| 정의 |
적색목록지수는 분류군별 멸종위험성을 측정하는 지표로서 국제자연보전연맹(IUCN) 적색목록의 각 카테고리별 멸종위기종 수의 변동에 기반하여 산출 변수범위는 1(모든 종들이 ‘최소관심’으로 구분되는 상태)에서 0(모든 종들이 ‘멸종’되었다고 구분되는 상태)사이로, 세계자연보전연맹(IUCN) 적색목록지수가 1인 것은 생물다양성 손실이 멈추었음을 의미 |
| 작성방법 |
세계자연보전연맹(IUCN)의 멸종위기 종 적색목록은 매년 갱신되며 재평가된 모든 종의 적색목록 지수도 대게 함께 발표멸종 위험의 재평가는 세계자연보전연맹(IUCN) 멸종위기종 적색목록에 평가된 종에 대해 10년에 한 번, 이상적으로는 4년에 한 번 실시해야 함 |
| 작성기관 |
세계자연보전연맹(IUCN), 국제조류보호협회(BLI) |
| 작성주기 |
1년 |
| 메타데이터 | https://kostat-sdg-kor.github.io/sdg-indicators/public/data/Metadata-15-05-01_KOR.pdf 새 창에서 열기 |
Download Headline CSV
원본 CSV 내려받기
Headline data
| Year | Value |
|---|---|
| 2000 | 0.763 |
| 2001 | 0.7587 |
| 2002 | 0.7547 |
| 2003 | 0.7516 |
| 2004 | 0.7488 |
| 2005 | 0.7449 |
| 2006 | 0.7418 |
| 2007 | 0.7373 |
| 2008 | 0.7346 |
| 2009 | 0.7319 |
| 2010 | 0.729 |
| 2011 | 0.7253 |
| 2012 | 0.722 |
| 2013 | 0.7193 |
| 2014 | 0.7165 |
| 2015 | 0.7129 |
| 2016 | 0.7104 |
| 2017 | 0.7078 |
| 2018 | 0.7042 |
| 2019 | 0.7017 |
| 2020 | 0.6986 |
| 2021 | 0.6953 |
| 2022 | 0.6917 |
| 2023 | 0.6867 |
이 표는 UN 통계 위원회에서 정의한 SDG 지표에 대한 메타데이터입니다. 전체 글로벌 메터데이터 는 UN 통계국에서 제공합니다.
| 지표명 |
적색목록지수 |
|---|---|
| 세부목표명 |
자연 서식지의 황폐화를 감소시키고 생물다양성의 손실을 중단시키기 위해 시급하고 대대적인 조치를 취하고 2020년까지 멸종위기 종을 보호하고 멸종을 예방 |
| 소관기구 |
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(IUCN), BirdLife International (BLI) |
| 메타데이터 | https://unstats.un.org/sdgs/metadata/files/Metadata-15-05-01.pdf 새 창에서 열기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