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 데이터 유형 |
데이터 유형: 국내유사통계(3유형) |
|---|---|
| 지표명 |
(a) 연안해역 부영양화지수 및 (b) 부유성 플라스틱 잔해 밀도 |
| 데이터명 |
해양쓰레기 수거량 |
| 정의 |
주로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를 통해 해양폐기물정화사업, 연근해침적폐기물수거사업, 낚시터 환경개선사업, 유류피해지역 지원 사업 등 다양한 수거사업의 결과를 바탕으로 해양쓰레기의 수거량을 측정하며 크게 해안쓰레기, 부유쓰레기, 침적쓰레기로 분류함 |
| 출처통계명 |
해양환경정보포털 해양쓰레기 수거사업 정보 |
| 작성방법 |
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 수거사업을 통해 수거량 측정 |
| 작성기관 |
해양환경공단 해양폐기물관리센터 |
| 작성주기 |
1년 |
| 메타데이터 | https://kostat-sdg-kor.github.io/sdg-indicators/public/data/Metadata-14-01-01_KOR.pdf 새 창에서 열기 |
Download Headline CSV
원본 CSV 내려받기
Headline data
| Year | Value |
|---|---|
| 2008 | 25239.5 |
| 2009 | 59437.5 |
| 2010 | 33436.5 |
| 2011 | 92897.6 |
| 2012 | 122365.6 |
| 2013 | 49080.4 |
| 2014 | 76935.8 |
| 2015 | 69128.9 |
| 2016 | 70840.6 |
| 2017 | 82175.4 |
| 2018 | 95632.0 |
| 2019 | 108644.1 |
| 2020 | 138361.9 |
| 2021 | 120736.2 |
| 2022 | 126035.4 |
이 표는 UN 통계 위원회에서 정의한 SDG 지표에 대한 메타데이터입니다. 전체 글로벌 메터데이터 는 UN 통계국에서 제공합니다.
| 지표명 |
(a) 연안해역 부영양화지수 및 (b) 부유성 플라스틱 잔해 밀도 |
|---|---|
| 세부목표명 |
2025년까지 해양 폐기물과 영양분 오염을 포함하여, 모든 형태의 해양 오염 방지 및 감소 |
| 소관기구 |
UN Environment (UNEP) |
| 메타데이터 | https://unstats.un.org/sdgs/metadata/files/Metadata-14-01-01.pdf 새 창에서 열기 |